본문 바로가기
정보

경제신문스크랩 2025년 02월 28일 금요일

by 원다구구 2025. 2. 28.
728x90

경제신문을 읽고 간단한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조금이라도 정보를 알고 공부해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으로 하고 있습니다. 오전 출근길에 조금이라도 정리된 글이라도 읽어보자고 하는 마음으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 02월 28일 금요일 경제신문스크랩

 

어제 저녁에는 산책하는 분들이 많던데, 날씨가 많이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내일 하고 모레에는 전국에 대부분 비또는 눈 소식이 있네요. 낮에는 최고 18도 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하니 이제 패딩은 옷장으로 들어가야 겠네요.

 

 

트럼프 3월 4일 중국에 10% 추가관세

 

• 트럼프, 3월 4일부터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중국에 10% 추가 관세 예고.
•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로 각국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 대만 3.14%(0.15%p↓), 독일 0.3%(0.8%p↓), 영국 0.75%(0.75%p↓), 한국 1.5%(0.4%p↓)로 조정.
• TSMC·폭스콘 등 대만 기업, 미·중 관세 영향으로 큰 타격 예상.
• 멕시코, 성장률 전망 0.6%로 반토막, 25% 관세 부과 시 역성장 우려.
• 독일, 3년 연속 역성장 가능성 제기, 정치 불확실성도 악영향.
• 영국,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물가 상승률 전망 2.8% → 3.7%로 상향.
• 미국 경제 당분간 활황 전망(2024년 2.7%), 그러나 관세 전쟁 장기화 시 피해 불가피.

 

👉 트럼프 관련기사

 

2월 대출 5조원 급증, 가계부채 큰일

 

• 2월 금융권 가계대출 약 5조원 증가 추정, 지난달 9000억원 감소에서 급증세 전환.
•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서울 '잠삼대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
• 5대 은행 가계대출만 2조3015억원 증가, 은행권 전체 3조5000억원, 2금융권 1조5000억원 추가 증가 예상.
• 지난해 4월부터 가계대출 증가세 지속, 작년 8월 9조7000억원으로 최고치 기록.
• 금융당국, 가계부채 증가세 면밀히 점검 중.
• 서울 아파트값, 강남 3구 중심으로 4주 연속 상승세 지속.
• 가계부채 확대가 경기 침체 대응 재정·통화정책에 걸림돌 될 우려.

 

👉 가계대출 관련기사

 

생존재테크에 투자하는 청년들

 

• 지난해 신규 주식 계좌 339만 개 중 2030세대 비중 48.7% (165만 개).
• 30대(25.9%)가 가장 많고, 20대(22.7%)는 40·50대보다 많음.
• 2030세대, 안정적인 장기 투자 선호… 신용거래 비중 40대 이상보다 낮음(0.35% vs. 0.82%).
• 국내 주요 투자 종목: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해외는 배당형 ETF(SCHD 등) 선호.
• 지난해 2030세대만 플러스 수익률 기록(20대 2.18%, 30대 2.96%), 40대 이상은 모두 손실.
• 국내 시장은 안정적 투자, 해외 시장은 적극적 투자 전략.
• 테마주·레버리지 상품 외면, 신중한 투자 성향 보여.
• 영어 활용해 해외 뉴스·리서치 활용, AI·챗GPT로 투자 전략 개발하는 사례 증가.
• 배당 달력 활용해 꾸준한 현금 흐름 확보 시도하는 투자자도 등장.

 

👉 생존재테크 관련기사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

 

• 중국 내수 부양책·한한령 해제 기대에 반도체·관광·엔터주 상승.
• DB하이텍, 중국 매출 비중 65%… 올 들어 46.35% 급등.
• 중국 ‘이구환신’ 정책 확대… 스마트폰·태블릿 등 지원 범위 확장.
• 춘제 기간 휴대폰·가전 판매량 전년 대비 182%, 166% 증가.
• 삼성전기, MLCC 매출 40%가 중국 수출… 주가 16.42% 상승.
• 한한령 해제 기대에 관광주 상승… 파라다이스(16.13%), 롯데관광개발(10.44%).
• 1월 중국인 한국 방문객 32만6000명, 전년 대비 33.6% 증가.
• 엔터·화장품주 급등… 토니모리 18.82%, YG PLUS 55.64% 상승.
• 다음달 중국 문화사절단 방한 예정, 투자 심리 자극 기대.
• 양회에서 AI·민간기업 지원책 발표 기대, 중국 관련주 향방 결정될 듯.

 

👉 중국 한한령 해제 기사

 

두달만에 건설사 100개가 망했다

 

• 건설업 위기 확산… 올해 법정관리 신청 중견건설사 4곳, 폐업 종합건설사 103곳.
• 전문건설사 포함 폐업 613곳… 중소업체 위기, 종합건설사로 전이 중.
• 공사비 상승·미분양 증가로 금융 부담 가중… 준공 후 미분양 2만 가구.
• 정부의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 발표에도 시장 반응 냉담.
• 올해 1월 아파트 분양 9918가구 → 2월 8805가구… 지난해 2월 대비 절반 이하.
• 건설업 종사자 7개월 연속 감소… 1월 11만4000명 줄어 2013년 이후 최대 감소폭.
• 전문가 “우량 사업장·기업 중심 지원, 건설사도 위기경영 필요” 조언.
• 상반기 추가 부도·파산 가능성↑… 건설업 구조조정 불가피 전망.

 

👉 위기의 건설사 관련 기사

 

고려아연 희소금속 자신감, 중국의 미국 수출통제가 고맙다는 이유

 

• 중국 희소금속 수출 통제 속 고려아연, 인듐·안티모니 생산으로 반사이익 기대.
•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세계 최대 비철금속 제련소… 인듐 연간 150t 생산, 글로벌 1위.
• 희소금속(인듐·안티모니·비스무트·텔루륨) 순도 높은 형태로 생산, 작년 매출 1810억 원.
• 폐전자제품·태양광 패널·전기차 배터리에서 희소금속 추출하는 ‘도시광산업’ 확장.
• 미국, 중국 희소금속 통제에 대응 필요… 고려아연 자원이 협상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
• 중국, 인듐·텅스텐 등 6개 품목 수출 제한… 인듐·안티모니 가격 급등.
• 고려아연, 희소금속 생산량 20~30% 확대 목표… 회수율 증가 위해 1000억 원 투자 계획.

 

👉 고려아연 관련기사

 

마감경제지표

 

어제 경제신문기사를 놓쳤다면.

2025년 02월 27일 목요일 경제신문스크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