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기초 용어 PBR에 대해 알아보자
PBR 은 주가순자산 비율 이라고 한다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이다
주가를 BPS(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것이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다
시가총액 / 자본총액 을 뜻하기도 한다
시총과 회사의 자기자본의 비율로 회사의 청산가치를 의미하며 낮을수록 안정성이 좋다고
할수있다 일반적으로 1이하면 자산주라고 할수있다
PBR이 1미만이라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때문에 무조건 매수하라는 말은 아니다
장부가치상 주가가 낮다는 뜻이지 실제로 주가가 낮게 평가되었다고는 볼수없기때문이다
주가순자산비율이 1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배로 팔린다는 뜻
100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00배로 팔린다는 이야기 이지만 이를 투자로 연결하지는 말자
PBR이 1 이하라면 주가가 장부상의 순자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내가 투자하는 회사가 현재 얼마나 튼튼하고 안정적인 기업인지를 판단할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 장부가 아닌 과거기준이니까 현시점을 반영한것이라 볼수없다
그래서 보통 주식하는 사람들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판단하는 PBR은 기업의 수익 주가를 판단하는 PER와 같이
보완적으로 서로 확인해서 판단한다고 한다
무조건적으로 PBR만 보고 투자하지말고 무조건적으로 PER만 보고 판다하지말고
PER와 PBR을 같이 보면서 투자하는 습관을 들이자
댓글